분류 전체보기49 Mac M1에서 crosstool-ng 빌드 gobjcopy, objcopy 없어서 에러 발생. brew install binutils 설치 후, /opt/homebrew/opt/binutils/bin를 path에 추가한다. menu library가 없단다. 빌드 실패 !! brew에서 직접 crosstool-ng를 설치한다. crosstool-ng 설정파일은 .config이다. vim의 coc모듈이 .config 디렉토리와 이름이 같다. 따라서 홈 디렉터리에서 빌드하면 안된다. 디렉터리를 만들어 그 안에서 실행한다. https://docs.espressif.com/projects/esp-idf/en/latest/esp32/get-started/macos-setup-scratch.html Setup Toolchain for Mac OS from S.. 2022. 1. 31. Apple M1 Mac에서 Arm(aarch64) 리눅스용 프로그램 빌드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1. 23. Mac M1 개발환경 구성하기 HW: macbook M1 Pro OS: macOS Monterey //Basic 1. Clean Up Dock 2. install iStat Menus 3. install Homebrew 4. install Key Castr(display key-input history) 5. install Cursor Pro 6. install Git(default Git version is too old) 7. install iTerm2 8. install Karabinel Elements(it makes caps lock key as ctrl, fn+h,j,k,l run as arrow move) 9. install Alfred 10. install Numi (simple and powerful calculato.. 2022. 1. 23. 리눅스 커널 헤더 추출(glibc --with-headers) glibc의 configure 옵션에 --with-headers가 있다. 리눅스 커널 소스의 include 링크를 지정하면 된다. 리눅스 커널 소스에 있는 include 디렉터리를 지정하면 안된다. https://www.kernel.org/doc/Documentation/kbuild/headers_install.txt 리눅스 커널 헤더를 export하는 방법이 있다. 리눅스 커널 소스가 있는 곳에서, 아래의 명령을 실행한다. make headers_install ARCH=arm INSTALL_HDR_PATH=/(헤더 파일을 저장할 경로) glibc의 --with-headers=/(헤더 파일을 저장할 경로) 와 같이 설정하고 configure를 실행하면 된다. 2021. 9. 23. 이전 1 ··· 9 10 11 12 1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