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de.js, Electron 설치 및 동작 확인 프로그래밍/Electron2019. 1. 19. 19:39
이 글은 아래의 내용을 담고 있다.
- Node.js 인스톨과 Electron 시작(본 글에 해당)
- Electron으로 ffi를 인스톨
- ffi로 C++ dll을 기동하여, dll 내부 함수를 사용
- 작성한 Electron어플리케이션을asar으로 하나의 파일로 정리하여 패키징한다.
내 개발 환경 상 Windows10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.
Node.js인스톨과 Electron 시작
Electron공식홈페이지에 의하면 현재 안정판은(2019.01.19 기준)
$ npm i -D electron@latest
# Electron 4.0.1
# Node 10.11.0
# Chromium 69.0.3497.106
이기 때문에, 우선 똑같은 Node.js 버전을 구한다.
Node.js 설치와 설정
Node.js릴리스 페이지에서 해당하는 버전을 찾는다.
확장자는 .ms
이다. 64비트를 다운로드, 설치한다.
설치 후 터미널에서
$ node -v
를 입력하여, 정상적으로 버전이 표시되었다고 설치가 완료된 것은 아니다.
Node를 윈도우에 설치할 때, 환경변수 설정이 잘못 등록되는 버그가 있기 때문이다.
시스템 환경변수의 Path에는 다음과 같이 등록될 수 있다.
C:\Program Files\nodejs\
아래와 같이 수정한다.
C:\Program Files\nodejs
Electron 설치
프로젝트를 작성하고, 프로젝트를 포기화한다.
your-project> npm ini
이것저것 입력하라고 나오지만, 전부 엔터를 눌러도 문제없다. 필요하다면 완료 후에 package.json
를 편집해도 좋다.
그리고 Electron를 설치한다.
your-project> npm install electron --save-dev
그리고 나서, package.json를 아래와 같이 편집한다.
{
"name": "your-project",
"version": "1.0.0",
"description": "",
"main": "index.js",
"scripts": {
"start": "electron ."
},
"author": "",
"license": "ISC",
"dependencies": {},
"devDependencies": {
"electron": "설치 버젼"
}
}
index.js와 index.html로 기술한다.
const electron = require('electron');
const {app, BrowserWindow} = electron;
const path = require('path');
const url = require('url');
const fs = require('fs');
let mainWindow;
//어플리케이션 기동이 종료 후 동작한다.
app.on('ready', () => {
createWindow();
});
function createWindow() {
mainWindow = new BrowserWindow({
width: 400,
height: 300,
useContentSize: true,
title: "test",
});
mainWindow.loadURL(url.format({
pathname: path.join(__dirname, 'index.html'),
protocol: 'file:',
slashes: true
}));
//윈도우 전부를 닫고, null로 지정한다.
mainWindow.on('closed', () => {
mainWindow = null
});
}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Hello world</title>
</head>
<body>
Hello world!
</body>
</html>
커맨드를 실행하고, 문제없이 동작하는지 확인한다.
your-project> npm start
'프로그래밍 > Electr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.js, Electron 설치 및 동작 확인 (0) | 2019.01.19 |
---|
댓글을 달아 주세요